코로나환자의 음성변화 및 후두합병증
단국대병원 이비인후과 이상준
COVID-19는 호흡기계에 전반적으로 영향을 주므로 음성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음성생성은 크게 호흡, 발성, 공명의 세단계가 있다. 소리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호기(expiration)로 생긴다. COVID-19 환자는 호흡이 짧아져 호기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음성생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발성시에 성문하압이 적절하게 유지가 되지 못하여 발성기능 역시 악화된다.
총 147명의 피험자로 실험군은 77명이었이나 13명이 중환자실로 전동이 되거나 사망하여 최종 실험군은 64명이었다. 연령은 16세에서 77세로 평균 52.3세였다. 대조군은 70명으로 연령은 18세에서 70세로 평균 42세였다. 음성녹음은 2명의 간호사에 의해 시행되었는데 마스크, 안면보호대, 일회용장갑, 보조장구를 갖추었고 레코더는 녹음 전후에 알코올로 소독을 하였다. 코로나에 의한 음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기본주파수(F0)와 F0의 표준편차, F0의 동요(perturbation)정도인 jitter와 shimmer, HNR (harmonic-to-noise ratio), NVB (number of voice breaks), 처음 두 화음(harmonic)의 진폭의 차이(H1-H2), 최장발성시간(MPT), CPP (capstral peak prominence)를 분석하였다.
COVID-19환자에서 F0를 제외한 모든 음향변수가 정상인과 차이를 보였다. F0의 표준편차, jitter, shimmer, H1-H2, NVB (number of voice break)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HNR, CPP, MPT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MPT의 감소는 폐기능의 저하와 관련이 높으며 불완전한 성문폐쇄로 인한 기류의 유출 또한 관련이 있다. 다른 음향변수들의 변화는 후두의 염증이나 변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COVID-19의 세계적 유행(pandemic)은 이비인후과 영역의 진료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비인후과와 밀접하게 연관된 분야로는 기관절개술, 후각저하, 미각저하, 호흡기도의 진찰 등이 있다. 이외에도 COVID-19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후두합병증의 처치 또한 이비인후과의사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COVID-19 환자에서는 여러 이유로 기관절개술의 시기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아 합병증의 빈도가 높아질 수 있다.
총 20명의 COVID-19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20명중 13명에서 삽관이 시행되었고, 9명에서 기관절개술이 시행되었다. 기관절개술 전 삽관기간은 평균 15.9일이었다. 음성불편감이 가장 흔히 호소하는 증상(60%)이었고, 호흡장애(35%), 연하곤란(30%), 이물감(10%), 목통증(10%)의 순으로 나타났다. 후두내시경상 모든 환자에서 이상이 보였으며, 성문부(93.8%)가 가장 높았고 이어 기관부(43.8%), 성분상부(37.5%), 성문하부(18.8%) 순이었다. 후두스트로보에서는 87.5%에서 이상소견이 있었고, 파형(87.5%)의 이상이 가장 많았고 이외에도 주기성(75%), 성문폐쇄(50%), 대칭성(50%)의 이상이 관찰되었다. 가장 흔한 진단은 일측성 성대마비(40%)였고, 후두협착(15%) 및 성문하협착(10%)이 다음이었고, 이어서 성대의 부종이나 육아종(10%)이 있었으며 삽관이 시행되지 않은 환자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45%의 환자에서 처치가 필요하였으며 20%에서는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였다. 수술적 처치로는 기관절개술, 현수후두경하 후두미세수술 및 풍선확장술, 기관지경, 반흔절개술, 육아조직 제거, 스테로이드 주사가 시행되었으며, 외래 처치로는 보톡스 주사, 성대주입술, 스테로이드 주사가 시행되었다.
대체적으로 COVID-19 감염에 이은 후두손상은 대부분 삽관과 관련이 있었으며, 음성변화, 연하장애 또한 삽관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삽관과 관련된 후두손상에서 교정 가능한 요인으로는 튜브의 굵기와 삽관기간이다. 7.5 이상의 삽관튜브의 굵기, 3일 이상의 삽관기간은 후두손상의 위험성을 높인다. 둘째, 환자의 요인으로는 2형당뇨병, 비만, 고혈압, 심혈관질환, 흡연이 포함된다.
1. Asiaee M, Vahedian-Azimi A, Atashi SS, Keramatfar A, Nourbakhsh M. Voice Quality Evaluation in Patients With COVID-19: An Acoustic Analysis. J Voice. 2020 Oct 1;S0892-1997(20)30368-4.
2. Naunheim MR, Zhou AS, Puka E, et al. Laryngeal complications of COVID-19. Laryngoscope Investigative Otolaryngology. 2020;5:111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