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연구, 나의 후두음성언어의학회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이비인후과 이승원
<2024년 5월 16일. Eugene Myers Award 수상 모습, COSM in Chicago >
저는 20년간 몸담아 온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웹진에 제 연구에 대한 글을 기고하게 되어 매우 영광입니다. 지난 15년 동안 성대 재건, 성대 반흔, 성대 재생과 관련된 난치성 음성 질환에 대해 동물 실험을 진행해 왔으며, 이 연구가 후두음성 분야의 동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의 위상
2004년 손영익 교수님을 따라 동아시아 후두음성 학회(EACP)에 처음 참석한 이후, 여러 국제 학회에서 우리 학회의 연구와 임상 업적을 접하면서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가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준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임상의사에게 기초 연구의 필요성
임상의로서 수술만 잘하면 되지 않느냐는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30년간 교수 생활을 하며 같은 수술을 반복하는 것은 다소 단조롭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후두음성 전문의로서 수술 중 생기는 의문이나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적 접근을 해결하기 위해, 그리고 교수로서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연구를 병행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의미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어떤 분야를 연구할 것인가?
Junior staff로 근무할 때, 열악한 연구 환경과 부족한 연구비로 인해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수십 명의 연구원을 이끌며 화려한 방법론과 높은 IF 저널에 발표하는 연구자들을 보고 부러움을 느낀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분들은 연구가 주된 직업이고, 우리는 주로 임상을 수행하는 외과의사로서 그들과 다른 영역에서 일하고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대한민국의 임상의 대부분은 1-2명의 연구원과 함께 소규모 실험실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제 수술과 임상에 실제로 도움이 되는 연구에 집중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토끼와 쥐의 성대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연구가 제가 속한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와 제가 수술하는 환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난치성 질환의 수술에 직접 도움이 되는 기초 연구에 집중함
처음 시행한 동물 성대 실험은 미국 Steven Gray 교수님이 개발한 새로운 성대 재건술인 minithyrotomy 성대 재건술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발전시켜 독창적인 Autologous Pedicled Fat Flap(PEFA) 성대 재건술을 개발하였고, 이는 실제로 cordectomy를 받은 환자의 성대 재건에 사용되고 있습니다(Laryngoscope, 2020, Jul;130(7):1770-1774). 이 연구는 Laryngoscope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또한, 성대반흔과 노인성 발성장애 치료에 효과가 있는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의 성대 반흔 치료 효과를 동물 모델에서 검증한 후 임상에 적용하였습니다(Clin Otolaryngol, 2021, Jan;46(1):131-137; Clin Exp Otorhinolaryngol, 2017, Dec;10(4):349-356).
국내에 **fiberoptic laser surgery(FLS)**를 도입하기 위해, 국내에서 시판 중인 다양한 fiberoptic laser를 성대에 적용하여 안전성을 검증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J Voice, 2023, Feb 25 (23):00029-2), 그 결과는 J Voice에 발표되었습니다. 또한, 성대반흔 치료를 위해 532nm diode laser의 성대 재생 효과를 검증하였고, 이를 실제 환자에게 적용하고 있습니다(J Voice, 2023, Oct 28 (23):00278-3).
마지막으로, 후두미세수술의 가장 큰 합병증 중 하나인 성대 반흔을 예방하기 위해 intralesional steroid injection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 연구 결과로 미국 후두음성학회에서 Eugene Myers Award를 수상하였습니다(Laryngoscope, 2024, Oct 1. doi: 10.1002/lary.31782).
다시 한번, 이러한 연구를 가능하게 도와주신 여러 교수님들과 연구원, 그리고 제자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